일반적으로 보건증에 대해 생소한 분들이 있습니다. 여기서 보시면 보건증은 식품이나 유흥업소 등 에서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정기적으로 보건상태를 체크하는 방식입니다. 유효기간이 있어서 주기적으로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검사를 받게 되면 보건증이라는것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보건증 온라인에서 간단히 발급받는 방법
1. 보건증 인터넷에서 발급받는 방법
2. G-health 보건증 발급 방법
3. G-health 보건증 발급 개인정보 확인
4. 보건증 온라인 제증명 발급
5. 마무리
보건증 인터넷에서 발급받는 방법
보건증을 발급 받기 위해서는 저익적으로 보건소를 방문하여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그리고 해당 검사 결과를 갖고 있어야 향후 점검시에 확인을 하는 방식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집에서 직접 인터넷으로 보건증을 발급받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건증 발급은 인터넷으로 하면 간단히 처리가 가능합니다.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공공보건 포털을 이용하면 어디서난 검사 결과지를 출력받을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 확인만 된다면 간단히 처리가 가능하니 꼭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해당 사이트는 [ G-health 공공보건포털 ] 검색 창에 입력하시면 됩니다. 해당 사항을 입력하고 검색을 진행하면 맨 앞에 검색결과가 나올겁니다. 해당사이트로 이동을 합니다.
G-health 보건증 발급 방법
지헬스 공공보건포털 메인화면을 보시면 중간에 증명서 발급 메뉴가 나옵니다. 그리고 증명서 발급 중에 다양한 발급 제증명이 나오는데 그중 건강진단결과서를 구. 보건증 을 클릭합니다.
온라인 제증명 발급 신청 대상
- 건강진단 결과서 (구.보건증)
- 건강진단서
- 결핵 및 잠복결핵감염 검진 결과서
- 진료비 납입증명서
- 채용신체 검사서
- 예방접종증명서
- 결핵진단서
해당 보건증 메뉴로 이동을 합니다. 제증명 발급 메뉴로 이동을 하게 되는데 발급전 유의사항 등 다양한 동의사항이 있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이용동의서 개인정보 수집 안내사항 고지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발급전 유의사항)
- 공공보건포털(G-health)은 공공보건의료기관(보건소, 의료원 등)의 내역만 조회가 가능합니다.(사립병원 제외)
- 공유프린터를 이용하여 출력시 개인정보보안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 개인의료정보보호를 위해 제증명 조회 및 발급 시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 아이핀, 디지털원패스, 휴대폰을 이용한 본인인증이 필요합니다. (공동인증서는 GPKI 사용불가)
- 본인확인을 위해 입력하신 개인정보와 공동인증서 또는 휴대폰 명의자의 정보가 동일인이어야 합니다.
- 예방접종 증명서 - 보호자의 공동인증서로 발급받으시려면 사전에 보건소에서 보호자 등록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G-health 보건증 발급 개인정보 확인
개인정보 동의 및 민감정보 동의 등을 진행이 끝나면 바로 개인정보 등록 후 로그인을 진행합니다.
로그인 방식은
- 공동인증서 본인확인
- 아이핀 본인확인
- 디지털 원패스 본인확인
- 핸드폰 본인확인
해당 방식들로 로그인 작업이 이루어집니다. 저는 공동인증서 본인 확인 방식으로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여기서 보시면 공동인증서 본인 확인을 클릭을 합니다. 그리고 동의여부를 모두 동의로 진행을 해야 합니다.
다음은 인증서 로그인 암호 등록 화면이 나옵니다. 해당화면을 클릭하고 들어갑니다. 해당화면에서 자신의 암호를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보건증 온라인 제증명 발급
공동인증서 로그인을 진행이 끝나면 바로 온라인 발급 대상 목록이 나옵니다. 건강진담결과서 구 보건증을 클릭을 하면 됩니다. 해당 목록을 클릭을 하게 되면 건강검진결과서 내역이 나오는데 검사 결과가 나오는 경우에만 목록이 나오니 참고하세요
- 보건기관의 진료의 판정이 입력된 증명서만 조회됩니다. 조회된 결과가 없을 경우 해당 보건소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보건기관에 등록된 성명, 주민번호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 조회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해당 보건소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제증명의 유효기간이 만료된 경우 조회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해당 보건소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가장 최근의 검사결과가 정상이 아닐 경우 모든 건강진단결과서 출력이 불가합니다.검사결과에 대해서는 해당 보건소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해당 검사 결과가 나왔다면 접수일자와 보건소명, 접수번호 판정 유무 등 세부 데이터가 나오가 됩니다. 조회가 안되는 경우에는 별도로 문의를 하셔야 합니다.
해당 검사 결과가 나오는 경우에는 접수번호와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표시 등을 확인하시고 용도를 입력하고 신청을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제증명 신청 및 발급 내역으로 이동하셔서 발급 받기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마무리
지금까지 인터넷 온라인에서 보건증을 발급받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직접 찾아가지 않아도 되니 상당히 매력적입니다. 인터넷으로 어디서나 발급이 가능하고 확인도 가능합니다.
어렵지 않은 방법이니 천천히 따라하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한전 전기요금 복지할인 제도와 지원대상, 할인 내용, 신청 방법 [ 장애인, 국가유공자, 다자녀, 기초수급자, 차상위계층 등 ] (tistory.com)
한전 전기요금 복지할인 제도와 지원대상, 할인 내용, 신청 방법 [ 장애인, 국가유공자, 다자녀,
한전에서는 전기요금에 대해 장애인, 국가유공자, 다자녀, 출산가구 등에 대해 전기요금 할인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취약계층인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등도 이에 포함되는데 오늘
life-freedom.tistory.com
댓글